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

누리호 발사성공 개발에 300개 기업 참여 '우주하늘'

728x90
반응형
SMALL

국내 기술 100%로 만들어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21일 2차 발사에 성고했다.

 

누리호 개발사업이 시작된 2010년 이후 12년 만에, 

1993년 최초의 '과학 1호'가 발사된 지 30년 만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전남 고층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 발사 결과 브리핑에서

"오늘 오후 4시에 발사된 누리호는 목표궤도에 투입돼 성능검증위성을 성공적으로 분리하고

궤도에 안착시켰다"면서 누리호 2차 발사의 성공을 공식화했다.

 

이날 발사에 성공한 누리호는 중형차 한 대 정도의 무게인 1.5톤급

실용 인공위성을 지구 관측용 위성들이 위치한 저궤도 상공(600~800km)에 띄울 수 있는 3단 로켓이다.

 

연료와 산화제를 포함한 총 무게는 200톤이다. 길이는 아파트 15층 높이인 47.2m이며, 최대 직경은 3.5m에 이른다.

누리호는 오후 4시 이륙한 후 1단, 페어링(위성 덮개), 2단, 성능검증위성, 위성모사체 등을 차례로 분리하며

모든 비행 절차를 수행했다. 특히 성능검증위성이 고도 700km 궤도에 진입한 후

초속 7.5㎞의 속도에 도달함에 따라 궤도 안착에 성공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10 21일 1차 발사가 이뤄진 후 정확히 8개월 만의 재도전에서 성공을 이뤄낸 것이다.

 

앞서 누리호는 지난해 10 21일 첫 발사에서 이륙 후 1단 분리, 페어링 분리,

2단 분리 등이 정상적으로 이뤄졌지만 3단에 장착된 7톤급 액체엔진의 연소 시간이 당초 목표보다

 46초 부족한 475초에 그쳤다. 그 결과 위성모사체는 고도 700km의 목표에는 도달했지만,

초속 7.5km의 속도에는 미치지 못해 지구 저궤도에 안착하지 못했다.

1차 때 위성모사체만를 탑재한 것과 달리 이번 2차 발사 때는 실제 작동하는 위성을 탑재해서

목표 궤도에 안착해 1차 발사 때의 아쉬움을 제대로 털어냈다.

2차 발사 준비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누리호는 강풍과 부품 이상 등으로 우여곡절을 겪었다.

 

지난 15일 발사 목표는 기상 악화로, 16일은 발사 목표는 산화제 레벨센서 부품 이상 등으로 2차례 저지된 것이다.

 

하지만 설계·제조·조립까지 모두 우리 역량으로 개발한 만큼 신속히 조치를 취해 정상화했다.

 

누리호의 도전은 계속된다. 한국형 발사체 고도화 사업에 따라

누리호를 내년부터 2027년까지 추가로 4번 더 우주로 쏘아올릴 예정이다.

반복 발사로 발사체 신뢰성을 강화하고 기술력을 고도화해 우주개발 독립 시대의 문을 더 활짝 연다는 목표다.

 

동시에 이 과정에서 발사체 기술력을 민간으로 이전해 민간이 우주 개발을 주도하는

'뉴 스페이스 시대' 견인에도 박차를 가한다는 비전이다. 실제 누리호 개발에는 300여개 기업이 참여해,

독자 개발에 필요한 핵심 부품 개발과 제작을 수행하고 있다.

더 나아가 누리호보다 성능이 2배 가량 더 뛰어난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가 지난 5월부터 진행 중이다.

 

이 사업의 목표는 저궤도 대형위성 발사,

달착륙선 자력 발사 등 국가 우주개발 수요에 대응하고 우주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발사체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내년부터 오는 2031년까지 9년간 1조9330억원(국고 1조9190억원, 민자 140억원)이 투입될 계획이다.

과기부는 개발된 차세대 발사체를 활용해 2030년 달 착륙 검증선을 발사해

성능을 확인한 후 첫 임무로서 2031년에 달착륙선을 발사할 계획이다.

이종호 과기부 장관은 "2027년까지 4번의 추가 발사를 통해 누리호의 기술적 신뢰도와 안정성을 높여나갈 계획"이라면서 "오는 8월에는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를 발사하고 국제 유인우주탐사사업 아르테미스에도 참여하면서

대한민국의 우주 개발 역량을 계속해서 키워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또한 정부는 우주산업 클러스터 육성과 재정, 세제지원 등 다양한 정책적·제도적 지원을 적극 추진해

뉴스페이스 시대를 대비한 자생적 우주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겠다"라고 다짐했다.

한편 누리호 발사가 '완벽한 성공'에 이르기 위해서는 성능검증위성이 발사일로부터

8일 뒤인 오는 29일부터 대학생들이 개발한 큐브위성 4대를 이틀 간격으로 사출해 내야 한다. 6월 29일 조선대,

7월 1일 카이스트, 7월 3일 서울대, 7월 5일 연세대, 7월 7일 더미 등의 순이다.

 


2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누리호 개발에는 300여개 국내 기업이 참여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이 사업 수행을 맡고 한국항공우주산업(KAI),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 등 민간 기업이

△체계종합 △추진기관/엔진 △구조체 △유도제어/전자 △열/공력 △발사대 △시험설비 등 분야별 사업에 참여했다.

 

주력 참여기업만 30여곳으로 인력 500여명이 이번 발사에 힘을 보탠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누리호 발사 사업에서 기술개발은 항우연과 국방과학연구소(ADD) 주도로 이뤄졌다고 한다.

 

누리호 발사는 2010년부터 12년 넘게 진행된 사업으로 투입 예산만 2조원에 달한다.

 

막대한 자금과 시간, 인력이 필요한 초기 우주산업의 특성상 민간이 사업 리스크를 부담할 수 없고

정부 주도의 연구개발이 이뤄질 수밖에 없었다는 얘기다.

누리호 발사로 우리나라 우주산업이 초기 기술 개발이라는 큰 벽을 넘어섰고, 

10년간 연구개발 노하우가 민간 기업에도 전해진 만큼 앞으로는 민간에서도 자체 기술개발과

다양한 시장형성에 나설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다는 게 정부 안팎의 시각이다.

한 정부 관계자는 "우주산업 육성에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고 사고 위험이 많다보니

민간이 직접 기술을 개발해 제품을 만들기는 어려운 상황이었다"며

"지금까지는 정부가 기술개발을 주도했다면 누리호 발사 이후에는 민간에서도 기술 개발 시도가 이어져

민관 모두가 참여하는 우주 산업 시장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도 누리호 발사 이후 민간 시장 개화를 위한 준비작업에 한창이다.

 

업부는 지난해 12월 열린 '민간주도 우주산업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발전협의회' 발대식에 참석해 민간 분야 우주 산업 육성 지원 방침을 밝혔다.

'민간주도 우주산업 소부장 발전협의회'는

항공·주주·자동차·소재·에너지·방위산업·서비스기업 등 민간 기업과 정부출연 연구소,

지방자치단체 등 70여개 민관 기관이 참여했다.

 

협의회는 발사체 재사용과 소형위성 대량생산, 상용부품 우주산업 적용 등 우주 분야에서

국내 기술로 개발한 소부장 분야 경쟁력을 강화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산업부 역시 이 협의회를 통해 발굴한 과제를

△소부장 개발사업 △민군 기술 협력사업 △산업혁신기반 구축 사업 등으로 지원하는

한편 올해 상반기 수립 예정인 '소부장 연계 첨단 우주산업 발전전략'에 업계 요구를 반영하는 등

협력 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군(軍)도 보유한 기술 이전을 통해 민간 우주산업의 경쟁력 강화 작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2만달러 선 회복  (0) 2022.06.20
세계은행(WB), 세계성장률 2.9%로 하향  (0) 2022.06.08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0) 2022.05.30